안녕하세요 메디컬인포입니다. 저번 시간에는 역류성 식도염을 다루어 보았습니다. 가장 중요한 예방법으로 꼽히던 식후 최소 1시간 눕지 않기, 실천하고 계신가요?
부디 역류성 식도염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 습관을 들이시길 바라며, 오늘의 주제로 넘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알아볼 질환은 고혈압입니다.
1. 고혈압의 정의
2. 고혈압의 원인
3. 고혈압의 증상
4. 고혈압의 치료법
1. 고혈압의 정의
고혈압은 혈압이 높아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혈압은 동맥혈관 벽에 대항한 혈액의 압력을 의미하는데요, 혈액의 압력은 심장이 수축하며 동맥혈관에 혈액을 보낼 때 가장 높습니다. 이때의 혈압을 수축기 혈압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심장이 늘어나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 혈압이 가장 낮아지게 되며, 이때의 혈압을 이완기 혈압이라고 합니다.
수축기 혈압이 140~159mmGg, 이완기 혈압이 90~99mmHg일 경우 1기 고혈압으로 진단이 됩니다.
대한민국 성인 열 명 중 세 명 꼴로 고혈압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2. 고혈압의 원인
고혈압은 신경성 요인과 체액성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유전, 흡연, 남성, 당뇨병, 자극적인 음식, 약물 부작용 노령화도 고혈압을 유발하는 요인이 됩니다.
고혈압의 90% 이상은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이고, 나머지 5~10%만이 원인이 명확한 이차성 고혈압에 해당합니다.
고혈압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본태성 고혈압의 경우 여러 가지 요인이 원인이 되는데, 이 중에는 가족력이 가장 흔하며 비만, 노화 짜게 먹는 습관, 스트레스, 그리고 운동 부족 또한 고혈압의 원인이 됩니다.
3. 고혈압의 증상
고혈압은 뚜렷한 증상이 없습니다. 따라서 건강 검진 중에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혹 증상이 있어서 병원을 찾는 경우 환자는 두통이나 어지러움, 피로감 등 혈압 상승에 의한 증상을 호소합니다. 시력 저하, 코피나 혈뇨, 뇌혈관 장애 증상 등 고혈압성 혈관 질환에 의한 증상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목덜미가 뻣뻣하면 혈압이 높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 높은 혈압이 아니라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목이 뻣뻣해지고, 그로 인해 혈압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목이 뻣뻣할 때는 고혈압이 아닌 다른 이유를 먼저 고려해야 합니다.
4. 고혈압의 치료법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해 비약물적 요법과 약물적 요법을 함께 실시합니다.
고혈압 전 단계에서는 체중 조절, 식사 요법, 규칙적인 운동 실시 등의 비약물적인 요법을 시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러나 환자가 고혈압으로 진단받게 되면 반드시 약물 치료를 통해 혈압을 정상으로 조절해야 합니다. 또한 흡연은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이기 때문에 환자에게는 금연을 권유합니다.
오늘은 고혈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의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연구진, “동공 클수록 똑똑하다” 머리가 아주 좋은 사람의 특징? (23) | 2022.01.26 |
---|---|
건망증, 젊은 치매로도 불린다는데…대체 원인이 뭘까? (14) | 2022.01.16 |
역류성식도염, 가슴부터 목이 타들어갈 듯이 아프다면? (7) | 2022.01.14 |
치매, 요즘들어 자꾸 깜빡깜빡하네… (8) | 2022.01.13 |
노안, 가까이 있는데도 안 보여! (10) | 2022.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