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역류성식도염, 가슴부터 목이 타들어갈 듯이 아프다면?

메디컬인포 2022. 1. 14. 20:10
728x90
320x100



안녕하세요 메디컬인포입니다. 저번에는 일반적인 치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도움이 되셨을까요?

여러 주제 중 하나라도 여러분에게 도움이 된다면 기쁠 것 같네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1. 역류성 식도염이란?
2.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
3.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
4. 역류성 식도염의 예방법/치료법

 



1. 역류성 식도염이란?


역류성 식도염이란 위에서 분비된 위액과 같은 소화 효소들이 식도로 역류하여 염증성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위염 혹은 위액과다분비 상태일 때도 식도에 통증이 나타나기 때문에 역류성 식도염이 의심된다면 병원에 방문하셔서 전문의와의 상담 혹은 내시경 검사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대한민국 국민 열 명 중 한 명꼴로 역류성 식도염이라는 질환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으로는 먼저 가슴부터 목 부근까지가 타들어가는 듯한 통증이 일어나게 됩니다. 위액이 역류하며 식도을 자극하기 때문이지요. 이 과정에서 환자는 가슴 답답함,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음식을 삼킬 때 불편감이 느껴지거나 목에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침을 자주 삼키거나 목소리가 쉽게 쉬는 것도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입니다.

또 역류성 식도염 환자는 목 안이 간질거려 기침을 자주 하게 되는데, 특히 저녁시간에 기침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320x100

3.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으로는 자극적인 식사 습관과 음주, 흡연, 위식도 조절 기능의 약화 등이 있습니다.

위에 기술된 원인들이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 유념해주셔야겠습니다만, 특히 역류성 식도염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는 음식물 섭취 후 바로 눕기를 자제해주셔야겠습니다.

4. 역류성 식도염의 예방법/치료법


역류성 식도염의 예방법으로는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 식사 후 최소 한 시간 후에 눕기, 취침 3시간 전 금식, 음주와 흡연 멀리하기 등이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법으로는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약물로 1~2개월간 약을 복용하기가 있습니다.

식도괄약근의 기능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위산 분비 억제를 위한 약을 끊었을 때 증상이 재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내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투약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오늘은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라며,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320x100